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3

우주의 정보 우주의 정보어떤 연구를 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가서 보고 경험하는 것이라 생각한다.우주 연구도 마찬가지로 직접 가서 보면 좋겠지만, 우리의 수명으로는 직접 우주로 나가서 경험하기란 쉽지 않다.그렇다고 외면할 것인가?우리들은 우주를 관찰하면 우주가 보내는 여러 가지 정보를 알 수 있다.그렇다면 우주에서 우리에게 오는 정보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1. 우주의 빛1900년대에 들어와서도 한동안 우리가 우주의 별에서 받을 수 있는 유일한 정보는 빛뿐이었다.이 빛의 정보로 위치를 측정하고 그 운동과 밝기, 온도, 화학적 성분을 연구하였다.심지어 별들 간에 미치는 중력 효과까지 조사할 수 있었다.그러나 별은 우리에게 빛 이외에도 다른 종류의 정보도 제공해 준다.2. 복사선(우주선)1896년 방사성 물질이 발.. 2024. 9. 10.
은하계(Milky Way) 은하계(Milky Way)은하계(Milky Way)는 우리 태양계가 속해 있는 거대한 나선형 은하이다.은하계는 수천억 개의 별, 가스, 먼지, 그리고 암흑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그 크기는 약 10만 광년(약 30,000 파섹)에 달한다.은하계에 대해서는 상세히 서술한 적이 있다. 구상 성단, 성운, 은하계구상 성단 이란 무엇일까? 모든 별이 태양처럼 홀로 있는 것은 아니다.오늘날 하늘에 있는 모든 별의 절반 이상이 쌍성계를 이루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별들은 보다 큰 집단을 형성하기도 한다.망jc7742.tistory.com오늘은 은하계의 중심과 은하계는 자전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자.은하계의 중심1805년 허셜은 태양과 주위의 별을 관찰하면서 태양이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그리고 태양이 우주의 고정된.. 2024. 9. 9.
구상 성단, 성운, 은하계 구상 성단 이란 무엇일까?모든 별이 태양처럼 홀로 있는 것은 아니다.오늘날 하늘에 있는 모든 별의 절반 이상이 쌍성계를 이루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별들은 보다 큰 집단을 형성하기도 한다.망원경이 발명되기 전, 사람들은 황소자리에 있는 "플레이아데스"를 경이의 시선으로 바라보았다. 플레이아데스는 직접 보더라도 6~7개의 별이 보이는 성단이다.1610년 갈릴레이의 망원경으로 플레이아데스에서 36개의 별을 더 볼 수 있었다.오늘날 찍은 사진을 보면 250여 개의 별이 보인다. 플레이아데스는 아주 작은 성단이다.성단의 위치 연구의 분기점은 메시에의 목록에서부터였다.메시에의 목록 13번째 것은 헤라클레스자리의 희미한 천체이다.윌리엄 허셜은 메시에보다 20년쯤 후에 보다 성능이 뛰어난 망원경으로 이 천체가 별들이 빽.. 2024. 9. 8.
신성(Nova) 신성이란 무엇일까?별은 아주 천천히 진화하기 때문에 한 사람의 일생 중에는 많은 변화를 보여주지 않는다.그러나 때때로 우리들은 별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을 때가 있다.그것은 예전에 없던 자리에 갑자기 새로운 별이 모습을 드러낼 때이다.이렇게 갑자기 모습을 드러내는 별을 최초로 기록한 사람은 히파르코스다.기원전 134년 전갈자리에서 새로운 별을 관찰한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그 사실은 확실하지 않았다.2세기 후 로마의 플리니우스가 기록한 내용만이 유일하게 그 일에 대해 언급되기 때문이다. 서기 100년대에 그리스의 천문학이 쇠퇴한 이후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천문학자들은 중국인이었다.그들은 100년부터 1100년대까지 몇몇 새로운 별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이 새로운 별들은 다른 별들에 비해 유난히 밝은 별들이.. 2024. 9. 7.
변광성, 백색 왜성 변광성이란 무엇인가?별은 매일밤 똑같아 보인다.하지만 페르세우스자리의 두 번째로 밝은 별, 베타 페르세우스를 보자.이 별은 69시간마다 밝기가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가 잠시 후 다시 원래의 밝기로 돌아온다. 고대 혹은 중세시대 때도 분명 이 현상은 관측되었을 것이다.페르세우스 자리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영웅이 메두사의 머리를 들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이 메두사의 머리가 베타 페르세우스에 해당한다.메두사의 머리는 너무 무서워서 보는 사람은 전부 돌로 변한다고 한다.그래서 아랍인들은 그 별이 아랍어로 악마라는 뜻의 "알골"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영국의 천문학자 존 굿릭은 1782년 알골이 쌍성이며 그중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더 밝다고 주장했다.69시간을 주기로 어두운 별이 밝은 별 앞을 지나갈 때.. 2024. 9. 5.
빛의 속도, 광년 빛의 속도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킬로미터를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적을 때는 수천만, 많을 때는 수천조 이상의 거리를 표현하려면 영을 몇 개나 붙여야 할까?그 숫자를 보면 혼란스러울 것이다. 킬로미터는 천문학적 거리가 아닌 지구상의 일상적인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그렇다면 별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다른 단위가 필요한데, 바로 빛을 이용하는 것이다.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빛의 속도를 알아야 한다. 방에 등을 켰을때 어두웠던 방은 순간적으로 밝아진다.등은 천정에 있는데 방바닥 구석까지 순간적으로 밝아지는 것은 빛의 속도가 순간이라는 말이 된다.커다란 경기장 역시 등을 켤 경우 순간적으로 전체가 밝아진다.가까운 곳에서는 측정할 수조차 없이 빠른 이 빛의 속도를 시.. 2024. 9. 4.
728x90
반응형